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글또
- 리액트입문
- 왕초보
- UIKit
- RxSwift
- SwiftUI
- 스유
- 회고
- iOS개발
- 글또x코드트리
- 알고리즘
- 수정중
- ViewBuilder
- 글또10기
- 비동기
- 글쓰기
- 유데미
- Swift알고리즘
- 개인앱
- ios
- git
- github
- 글또9기
- Postman
- 클린코드
- 개발회고
- 초보iOS개발자
- Swift
- 12회차
- JavaScript
- Today
- Total
playground_avec coding
[node mon] 설치하기 본문
node mon을 설치하는 이유
node mon 이란?
node monitor 의 약자로 노드가 실행하는 파일이 속한 디렉터리를 감시하고 있다가 파일이 수정되면 자동으로 노드 애플리케이션을 재시작하는 확장 모듈이다.
이 확장모듈을 이용하면 개발 중인 노드 애플리케이션 소스코드를 수정할 때마다 매번 노드 명령어를 통해 새로 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설치방법]
vscode 터미널 창에 리액트 설치한 폴더에서
npm install nodemon --save-dev 를 붙인다.
+dev 붙이는 이유 : development 는 로컬에서 그냥 테스트로서 사용하겠다는 의미이며, package.json 에 들어가보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npm 개념 다시 바로 잡기! ]
npm은 node.js 에서 사용 가능한 모듈들을 패키지화시켜 모아놓은 것으로, npm이란 이름은 "Node Package Modules" 의 약자이다. 웹에서 필요로 하는 특정 기능들을 일일이 개발하지 않아도 이미 누군가가 만들어 올려놓은 모듈을 다운받기만하면 되므로, 개발을 쉽게 할 수 있어서 노드가 빠르게 인기를 끄는 것에 도움을 주었다.
[ package.json ]
노드로 확장 모듈을 작성하면 npm을 통해 중앙 저장소로 배포할 수 있다. package.json 파일은 배포한 모듈 정보를 담고자 만들어졌고, 노드로 작성하는애플리케이션도 package.json파일을 사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
npm init 을 통해서 자동으로 생성
npm install -save 를 통해 자동으로 모듈에 대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package.json의 기본적인 프로젝트 명세
{
"name" : "test",
"description" : "javascript's test programming.",
"keywords" : ["util", "f", "server", "client", "browser"],
"author" : "Goorm",
"contributors" : [],
"dependencies" : [],
"repository" : {"type": "git", "url" : "git://gitbub.com/documentcloud/test.git" },
"main" : "test.js",
"version" : "1.1.6"
}
localhost 로 띄웠을 때 { res.send(들어갈 내용 수정 )} 을 하면 F5로 해도 바로 바뀌지 않고 노드 명령어로 새로 시작해야할 번거로움이 있다. node mon을 설치함으로써, 내용을 수정하고 F5새로고침을 하면 바로 내용이 수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cripts": {
"start": "node index.js",
"backend":"nodemon index.js",
"test": "echo \"Error: no test specified\" && exit 1"
},
> package.json 에서 "scripts": {
"backend" : " nodemon index.js ", }
를 추가해주었다.
그러므로, 리액트 폴더 내에서 터미널창에 npm 명령어를 쳐줄때 npm run backend 라고 쳐준다.
그럼 index.js에 따로 노드 명령어를 사용할 필요없이 바로바로 새로고침을 하여 내용(혹은 애플리케이션)수정을 확인할 수 있다.
'front-end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그인기능 (0) | 2021.07.09 |
---|---|
기밀 정보를 보호하는 방법 2가지 (0) | 2021.06.09 |
[client -server 테스트] Body-parser와 Postman 이용 (0) | 2021.06.08 |
[Mongo DB] 에서의 Model 과 Schema 의 개념, 역할 (0) | 2021.06.02 |
[Node.js] Mongo DB 연결하기 (0) | 2021.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