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Postman
- 스유
- 왕초보
- iOS개발
- SwiftUI
- 수정중
- 개발회고
- UIKit
- RxSwift
- ViewBuilder
- 알고리즘
- 글쓰기
- 리액트입문
- git
- Swift알고리즘
- 초보iOS개발자
- 글또x코드트리
- JavaScript
- Swift
- 개인앱
- 클린코드
- 글또10기
- ios
- 회고
- 글또9기
- 글또
- 비동기
- 유데미
- github
- 12회차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MongoDB (1)
playground_avec coding

1. 비밀정보를 따로 빼 둔다. 1.Process.env.NODE_ENV Local 환경일 때, -development 모드 >> config 폴더를 생성하여 그 안에 dev.js 라는 파일을 만들어 관리한다. git 커밋하여 푸시해 배포할 때, index.js 에 써놓은 기밀정보가 노출될 수 있음으로, mongoose password를 dev.js 에 따로 빼 두어 관리한다. Deploy (배포) - production 모드 >> heroku 사이트에서 관리해줘야 하는 환경 config 폴더 안에 dev.js 파일, prod.js 파일, key.js파일을 생성한다. 몽구스 문법으로 연결되었을 때, config 안에 mongoURI 라고 dev.js 파일 안에 ( 로컬환경에서 ) module.export..
front-end/node.js
2021. 6. 9. 2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