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3)
-
[ 개발 영어 ] Udemy - 개발자 영어(박재호 님) 강의를 듣고서
글또에서 한 달 가량 활동하면서 느낀 짧은 개인 회고 글또에 들어간 지 한 달 좀 더 지난 것 같다. 개발과 커리어, 고민, 성장, 좋은 책 등 다양한 인사이트(시각)들을 얻을 기회가 많아졌다. 여러 툴의 정보와 다른 기술 직군들의 고민을 같이 나눠볼 수 있고, 경험이 있는 경력자분들의 조언이나 인생선배님들의 조언 또한 접할 수 있어서 좋았다. 다른 기술직군 개발자분들의 글을 큐레이션과 채널 탐색을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된 것도 좋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채널 합류를 하면서 연대감도 느꼈다. 최근 들어간 데일리 크리에이또와 모닝또, 자료 공유 등의 채널은 실행력과 긍정적인 동기부여도 서로 나눌 수 있다는 점이 가장 좋다. 특히 모각글(zoom에서 모여서 각잡고 글쓰기)은 글을 모여서 쓰거나 의식하고..
2024.01.05 -
[ Clean Code ] 클린코드 시리즈 - 주석
주석을 신뢰하면 안된다. 오래될수록 완전히 그릇된 가능성도 있다. 이유? 프로그래머들이 주석을 유지하고 보수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 코드는 변화하고 진화한다. → 일부가 여기서 저기로 위치가 변경되기도 함 부정확한 주석은 아예 없는 주석보다 훨씬 더 나쁘다. 그리고 주석은 독자를 현혹하고 오도함. ⚠️ 더 이상 지킬 필요가 없는 규칙이나 지켜서는 안되는 규칙을 명시한다. 💡 진실은 한 곳에 존재 → 바로 코드 [ 좋은 주석 ] 정말로 좋은 주석은, 주석을 달지 않을 방법을 찾아낸 주석 1. 법적인 주석 회사가 정립한 구현 표준에 맞춰 법적인 이유로 특정 주석을 넣으라고 명시 소스 파일 첫머리에 주석으로 들어가는 저작권 정보와 소유권 정보는 필요하고, 타당함 FitNess에서 모든 소스 파일 첫머리에 추가..
2023.12.23 -
[ Clean Code ] 클린코드 시리즈 - 함수
함수가 이해하기 쉬우려면? 의도를 분명히 표현하는 함수를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까? 함수에 어떤 속성을 부여해야 처음 읽는 사람이 프로그램의 내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까?[작게 만들어라] 블록과 들여쓰기 if / else / while 중첩구조가 생길만큼 함수가 커져서는 안된다. 그러므로 함수에서 들여쓰기 [ 한가지만 해라 ] 함수는 한 가지를 해야한다. 그 한가지를 잘해야한다.그 한가지는 무엇인가? 알기 어렵다는 점 페이지가 테스트페이지인지 확인한 후 테스트 페이지라면 설정 페이지와 해제 페이지를 넣는다 테스트 페이지든 아니든 페이지를 HTML 로 렌더링함 -> 지정된 함수 이름 아래 추상화 수준이 하나의 단계 단순히 다른 표현이 아니라, 의미 있는 이름으로 다른 함수를 추출할 수 있다면 그 함..
2023.12.23 -
[ iOS / UIKit ] UISceneDelegate(에 대해 설명하세요)
UIKit 의 Scene Delegate 에서 초기 화면 접근시 로직 설정(rootViewController) 혹은 키보드, 내비게이션 화면 이동 등 설정을 하곤 했다. 여러 문서와 글을 검색하고 읽었을때, Scene Delegate 는 iOS 13 부터 나온 거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 전에는 App Delegate 에서 앱의 환경설정, 메모리 관리, 앱이 시작되고, 종료될 때의 설정, 화면 전환 및 scene 의 생명주기 관리까지 한 것 같다. scene delegate 와 app delegate Scene Delegate 가 없었을때는 App Delegate 에서 화면 관리나 앱의 생명주기를 설정을 했다는 건데, 공식문서를 살펴보면 app delegate 와 Scene Delegate 는 cla..
2023.12.17 -
Swift 기본 가이드라인 - part 1
1. fundamental(기초) 사용 시점의 명확성(Clarity as the point of use) -> 가장 중요한 목표 - 메소드, 속성(property) 등의 엔터티는 한 번만 선언되지만 반복적으로 사용 => API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사용하도록 설계해라! => 설계를 평가할 때, 선언문(declaration)을 읽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항상 사용 사례를 조사해 맥락해서 명확하게 보이는지 확인해라! 간결함보다 명확성이 더 중요해! Swift 코드는 간결할 수 있으나, 최소한의 문자로 가능한 가장 간단한 코드를 구현하는 게 목표가 아니다. Swift 코드의 간결함은 강력한 유형 시스템과 자연스럽게 상용구(boilerplate)를 줄이는 기능의 부작용이다. BoilerPlate란? 다양한 프..
2023.12.14 -
[ Clean Code ] 클린코드 시리즈 (with Swift 가이드라인)
시작하게 된 계기 - 장인정신에 걸음마를 익히듯 다가갈 내 모습을 만든다. - 예전 프로젝트를 방치하지 않고 다시 열어서 용기를 얻어 뜯어보자! - 클린 아키텍쳐 이론을 사실 먼저 건드렸지만, 그 전에 기본이 되는 코드를 나는 잘 짜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 Overview 장인정신을 익히는 과정 1단계 이론 ➡ 2단계 실전 - 원칙, 패턴, 기법, 경험이라는 지식 습득 - 열심히 일하고 연습해 지식을 몸과 마음으로 체득 열심히 독파해야하며, 단순히 코드 패턴을 익히는 것에 더 나아가 🐕고생 해야한다. 실패도 맛보고, 다른이들이 시도하다 실패하는 모습도 봐야한다. 클린코드 책의 전체적인 흐름 초반 깨끗한 코드 작성 원칙, 패턴, 실기 설명 두번째 파트 더 심화적이며, 여러 사례를 소개하며, 복잡도가 높아진다..
2023.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