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JavaScript
- iOS개발
- 수정중
- 리액트입문
- ios
- Swift알고리즘
- SwiftUI
- git
- Postman
- 글쓰기
- 12회차
- 왕초보
- 개발회고
- RxSwift
- 글또10기
- github
- ViewBuilder
- 개인앱
- 글또x코드트리
- 알고리즘
- 글또
- 유데미
- 글또9기
- 회고
- Swift
- 초보iOS개발자
- 스유
- UIKit
- 클린코드
- 비동기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92)
playground_avec coding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서버 없이 로컬 데이터 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개인프로젝트로 앱을 개발할 때, 부담없이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전통적인 방식의 RDBMS는 아니지만, 서버리스 DB 이자 임베디드 데이터베이스가 바로 그런 데이터베이스다. 이해하기 쉽고, 사용자 입장에서도 서버에 사용자의 개인적인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으니 찜찜할 이유도 없다. 게다가, 서버와의 통신이 불안정한 걸 걱정할 필요도 없고, 오프라인 환경에서도 잘 동작한다. 서버 운용비용에 대한 부담도 없다. 어떤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고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 2024년에 내가 배포했던 소리의 기록(링크) 앱도 바로 이런 로컬 DB 시스템을 사용한 좋은 예시다. 응? 임베디드 데이터베이스(Embedd..
To. 미래독자 혹은 나 자신에게..(연관글 아래 링크 참고해주세요)RxSwift - Subject 를 읽기 전 RxSwift 가 처음이고 동시성에 대해 가볍게 알고 가고 싶으신가요? 제가 이전에 공부하고 정리한 아래 글들을 먼저 읽어보시는 것도 추천드려요. (틀린 부분이 있다면 피드백은 언제든지 환영입니다!)클린코드에서 동시성Swift 동시성RxSwift 개념 1탄 - RxSwift의 개념과 데이터스트림, 구독, 연산자 체이닝들 중 주요 요소를 다룬 글 RxSwift 개념을 다시 접한게 근 5개월만인 것 같다. Subject 의 개념과 활용법을 살펴보기 앞서, 정의에서 언급하는 것에 Observable 과 Observer 가 있기에 제대로 개념을 잡고 넘어가보자 한다. RxSwift 개념 1탄에서 Ob..
나의 알고리즘 공부 상태공부를 안한지 근 1년 가까이 되었다. 주로 프로그래머스의 고득점 Kit 로 문제를 풀었던 것 같다. 빈출 유형이 높은 문제 위주로 접근을 하려고 했다. 예전엔 그냥 레벨 1, 2 나 Swift 코드 문제로 풀이가 가능한 문제들을 풀려고 했다. 이번엔 알고리즘의 유형별 개념에서 자주 나오는 것 위주로 개념공부를 해야 문제를 풀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목표 설정기존에는 Swift 로만 문제를 풀려고 애를 썼다. 작년 학기때 C++ 을 배우기도 했고, C 언어 파이썬의 아주 기초 개념 정도만 알고 있는 상태였다. 이번엔 기초 문제와 자주 나오는 유형별에서 C++ 문제로도 풀어보고 다른 유형도 c++ 유형으로 공부하려고 했다. 글또와 함께 돌아 온 코드트리, 반갑기도 하고 어딘가 ..
Git은 원격저장소인 github 으로 내가 한 작업내역을 보내는 수단 아니에요? 맞다. 내가 한 작업내역을 원격저장소에 내보낸다. 깃헙은 단순 내가 잔디 심는 것을 자랑하기 위함인가? 사실 지금도 그렇게 느끼고 있긴하다. 주기적으로 코드 작업을 하고 눈에 띄게 보여줄 수 있는 부분이긴 하다. 근본적으로 Git 을 왜 쓰는지에 대한 돌아봄이 필요했다. 작년 2학기동안 유닉스 시스템을 배우면서, 리눅스 셸 스크립트 명령어 뿐만 아니라 Git 명령어와 버전관리에 대해서도 진지하게 생각해볼 수 있던 것 같다. (사실 다시 교재를 읽으면서 느꼈다..🤣) 버전관리를 왜 하나요? 라고 나에게 반문해보자. 인생의 실수는 되돌릴 수 없고, 흘러간 추억들은 날조되거나 다르게 기억할 수 있다. 그치만 깃(Git)에서..
스물스물 기어나오는 많은 생각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다. - 회고에 대한 정의와 계획나의 삶을 돌아보고 한 발치 물러서서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깨달음을 얻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그리 어렵지도 않다. 내가 해 온 행적들을 나열하고 살펴본다면 결코 어렵진 않을 것 같아서 2024년 회고와 내 인생의 청사진의 초안을 작성해보려고 한다. 최근 내가 읽게 된 책이 있는데, 그 책은 바로 '생각중독' 이라는 책이다. 생각은 많고 불안한데, 무언가 하고 싶지 않아 게으름을 피우던 적이 참 많았다. 2023년부터 회고를 해본 것 같다. 이또한 다 글또에서의 글쓰기 덕분이다. 생각중독에서의 저자가 말하는 것은 인간이 불안하고 불편감을 느끼는 것은 해야할 것을 회피하고 알면서도 하지 않는 것이다. 어렵다고 느끼고, 버겁다..